고금리 예금에 자금이 몰린다
직장인이라면 하나쯤 가지고 있는 저축통장, 어떻게 관리하고 있나요?
적금 또는 예금 둘 중 하나는 꼭 가지고 있는 저축 많이 관심 있을 겁니다.
최근 연 6% 예금 또는 7% 적금 관련 기사는 쉽게 볼 수 있습니다.
주식 및 코인 또 다른 재테크를 하시는 분들이 많지만 충분한 학습이 되어있지 않은 상태라면 손해를 보기 십상입니다. 그렇다면 어떻게 하는 게 가장 좋을까요?
바로 안전한 자산 불리기 적금 또는 예금입니다. 기존의 적금과 예금이라면 추천하지 않았습니다.
이자율이 처참하기 때문이죠, 하지만 미국이 계속해서 금리를 올리는 이 시기에는 적절한 선택입니다.
그렇다면 예금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은 한 번쯤 생각할 겁니다. 현재 예금을 가지고 있는 건 어떻게 해야 하지?
옮기는 것이 과연 옳은 선택일까 아니면 만기 되면 옮기는 게 좋은 선택일까?
다 똑같은 고민을 할 겁니다. 우리가 하는 고민들을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을 아래와 같이 있으니, 꼭 읽어보길 바랍니다.
예금 옮기기 옳은 선택?
첫 번째 [짧은 기간의 만기 예금]
은행에 들어가서 보면 예금은 납입기간이 길 수록 이자율이 높습니다. 어떻게 보면 당연하죠?
하지만 지금 시기에는 오랫동안 묶어두지 않는 게 좋습니다. 하루가 다르게 이자율은 상승하고 있습니다.
이럴 땐, 짧은 기간 계속 회전식으로 하는 게 좋습니다.
또는 저축은행 파킹 통장에 입출금식으로 넣어두었다가 이자율 높은 은행 발견 시 실행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입니다. 제가 이용하는 사이다 뱅크는 현재 3.2% 파킹 통장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물론 3.5% 파킹통장 또는 그 이상하는 파킹 통장이 있지만, 오랫동안 둘 금액이 아니고, 또다시 가입하는 절차를 밟기 싫어서 저는 제가 평소에 사용하는 사이다 뱅크를 이용하고 있습니다.
두 번째 [기존 예금 3개월 미만? 갈아타자]
이미 가입된 예금이 가입한 지 3개월이 되지 않았다면 과감히 해지하고 갈아타는 게 유리합니다.
작년과 다르게 이자율이 치솟고 있으니, 전문가가 말하길 3개월이 되지 않았다면 갈아타는 게 훨씬 유리하다고 합니다.
세 번째 [직접 손품을 팔아 예금 이자 비교]
요즘은 인터넷이 워낙 활성화되어있어 조금만 활동하면 어느 곳이 이자가 높은지 단숨에 알 수 있습니다.
은행별, 상품별, 이자율을 한눈에 알 수 있으니 가까운 곳이라면 이동하여 가입을 하면 됩니다.
특히 특판이라고 적혀 있는 상품을 노린다면 바로 선택하시면 됩니다.
아래와 같이 요즘은 이자율을 한눈에 볼 수 있는 곳이 있어서 선택하는 폭이 넓습니다.
이렇게 원하는 은행의 이상적인 이자율을 찾았다면, 아래의 예금 변경 손익 계산기 엑셀 파일을 활용하여 기존 대비 신규 예금을 개설하였을 때 본인에게 이득인지 아닌지 여부를 파악합니다.
우측 하단 예금 변경 손익을 보았을 때 +라면 변경을 하고, 그렇지 않다면 만기까지 기다리시면 됩니다.
많은 사람들이 활용하여, 빠르고 쉽게 손익을 확인하여 재테크를 성공하길 바랍니다.
현재 대출을 많이 한 사람들은 곤욕이지만 현 시기에 가장 좋은 기회는 은행을 이용하는 게 아닐까 생각됩니다.
물론 제가 정답이라고 얘기할 수 없지만, 많은 사람들에게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참고로 해당 예금 변경 계산기 엑셀 파일은 보호가 걸려있으니, 아래와 같이 해제를 하고 사용하길 바랍니다.
비밀 댓글을 주시면 파일 비밀번호를 알려드리겠습니다.
확인 후 최대한 빠르게 알려드릴 테니 조금만 기다려주세요
예금 변경 손익 계산기 엑셀 파일
마무리
직장인이 되어 재테크에 관심이 많아졌습니다. 정보는 공유를 하면 할 수 록 더 양질의 정보가 된다고 생각합니다. 많은 사람들에게 좋은 정보를 제공하고 좋은 게시글을 업로드 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앞으로 은행 및 재태크 관련하여 많은 정보를 업 르도 할 계획이니 많은 방문 바랍니다.
'은행&재태크&부동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예금&적금 이자율 최고 은행 (4) | 2022.10.22 |
---|---|
예금&적금 이자율 높은 은행 찾기 (0) | 2022.10.21 |
청년희망적금 이자 최대로 받는방법? (0) | 2022.07.05 |
청년내일저축계좌 2022년 조건 및 신청방법 (0) | 2022.07.01 |
청년도약계좌&청년희망적금 비교 (4) | 2022.03.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