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다반사

파묘 - 숨겨진 의미가 있다

너도 할 수 있어 2024. 5. 3.
반응형
 
파묘
미국 LA, 거액의 의뢰를 받은 무당 ‘화림’(김고은)과 ‘봉길’(이도현)은 기이한 병이 대물림되는 집안의 장손을 만난다. 조상의 묫자리가 화근임을 알아챈 ‘화림’은 이장을 권하고, 돈 냄새를 맡은 최고의 풍수사 ‘상덕’(최민식)과 장의사 ‘영근’(유해진)이 합류한다.  “전부 잘 알 거야… 묘 하나 잘못 건들면 어떻게 되는지”  절대 사람이 묻힐 수 없는 악지에 자리한 기이한 묘. ‘상덕’은 불길한 기운을 느끼고 제안을 거절하지만, ‘화림’의 설득으로 결국 파묘가 시작되고…  나와서는 안될 것이 나왔다. 
평점
10.0 (2024.02.22 개봉)
감독
장재현
출연
최민식, 김고은, 유해진, 이도현, 김재철, 김민준, 김병오, 전진기, 박정자, 박지일, 이종구, 이영란, 정상철, 김지안, 김태준, 김서현, 고춘자, 최문경, 김선영, 이다윗, 김소숙, 정윤하, 홍서준

 

 

 

"파묘"는 거액의 돈을 받고 수상한 묘를 이장한 풍수사와 장의사,

무속인들에게 벌어지는 기이한 사건을 담은 미스터리 영화다.

이번 작품은 겉으로는 미스터리 오컬트 영화를 표방하고 있지만,

관람 후에는 강한 '항일' 메시지가 담겨있는 것을 알게 돼 화제를 모으고 있다.

특히 관람 전엔 미처 알지 못했던 몇 가지 상징들이 이미 관람한 관객들 사이 암암리에 회자되고 있어 눈길을 끈다. 

 




첫 번째는 등장 인물들의 이름이다. 김고은이 연기한 무당 화림, 이도현이 맡은 봉길, 최민식의 풍수사 상덕, 유해진의 장의사 영근은 모두 실존했던 독립운동가 김상덕, 이화림, 윤봉길, 고영근의 이름에서 따왔다. 또한 보국사를 만든 스님의 법명 원봉 역시 의열단장 김원봉과 같다.

김고은 역시 이에 대해 "감독님이 촬영 중반 쯤 얘기해주셨다. '사실은 등장인물 이름을 다 독립운동가 이름으로 한 것이다'라고 하시더라. 저도 화림에 대해서는 화림이란 이름의 독립운동가 분이 계시냐고 물어봤었다"고 밝혔다.

세심하게 본다면 극 후반부 상덕이 휘두르는 나무 막대에 빼곡하게 써있는 이름 역시 독립운동가들의 이름임을 알 수 있다.

 


 


두 번째는 숨겨진 간판과 차 번호판의 의미다.

유해진이 운영하고 있는 장의사는 의열단을 떠올리게하는 의열 장의사다. 또한 후반부에 등장하는 절인 보국사는 나라를 지킨다는 의미를 갖는다.

영화 속에 나오는 '파묘' 멤버들의 차량 번호 역시 관객들을 소름돋게 만든 지점이다. 상덕과 영근의 차 번호는 0815, 화림과 봉길의 차량은 0301, 시신 운구차 뒷 번호는 1945로 각각 광복절, 3·1절, 광복이 된 해를 의미해 눈길을 끈다.

김고은 역시 "번호판은 저도 영화를 보고 알았다. 촬영하면서 번호판을 제가 못봤던 것 같다"며 놀라움을 표하기도.




세 번째는 '여우와 범' 상징이다.

'파묘'의 중요 대사로 "여우가 범의 허리를 끊었다"는 구절이 나온다. 여기서 여우는 극 중 묫자리를 지정한 일본 스님 기순애를 뜻한다. 기순애는 일본어로 키츠네(きつね) 즉 여우를 의미하는 단어에서 따왔다.

대한민국 지도는 대대로 범의 형상을 했다고 표현되고 있다. 이에 빗대 여우가 호랑이의 허리를 끊었다는 것은, 기순애가 호랑이의 허리에 해당하는 지점에 쇠말뚝을 박아 나라의 정기를 끊으려 했다는 미스테리한 비화를 반영한 에피소드로 해석된다.

 


 



네 번째는 음양오행이다.

엔딩에서 쇠말뚝 그 자체인 일본 정령을 없애기 위해 상덕이 피 묻은 나무를 사용하며 "젖은 나무는 쇠를 이긴다"고 표현한다. 음양오행의 개념을 집어넣은 것인데, 오행은 목(木, 나무) 화(火, 불) 토(土, 땅) 금(金, 쇠) 수(水, 물)를 의미한다. 다섯 가지 요소들이 서로 상생하거나 상극인 관계를 가지고 있다. 이를 이용해 수와 목 성질을 가진 젖은 나무가 금 성질을 가진 쇠말뚝 정령을 이길 수 있었다는 해석이다. 



 

 


다섯 번째는 최민식이 던진 100원짜리 동전이다.

험한 묫자리를 정리하며 상덕이 묫자리에 100원짜리 동전을 던진다. 이 장면에서 '명량'의 이순신을 연기한 최민식이 100원짜리 동전을 던지는 장면이 인상깊었다는 관객들의 반응이 이어진 바 있다.

그러나 이는 감독이 의도한 것이 아닌 우연이라고. 장재현 감독은 해당 장면에 대해 "캐스팅 할 때는 생각하지 못했다. 묫자리 값을 주는 장면이다. 나쁜 곳일 수록 10원짜리나 이런 것을 실제로 던지고 온다. 10원 짜리로 하려고 했는데 흙색과 겹쳐 잘 보이지 않아 100원짜리를 쓰게 됐는데, 뒷면이 이순신 장군이지 않나. 그 때 처음으로 '아 그 느낌이 있구나' 했다. 저에게는 '명량'이 오래된 영화라 생각하지 못했다. 그런 이미지가 도드라지지 않다고 생각하고 있었나보다. 오히려 아버지같은 느낌이 맞아서 캐스팅을 하게 됐다"고 밝혔다.


 

 

반응형

댓글

✅추천 게시글✅